본문 바로가기

2025/07/10

(2)
반려동물-소리 자극 인지 능력과 학습 효과 분석 반려동물은 소리를 어떻게 이해하고 배울까사람은 소리를 통해 언어를 배우고 경고음을 인지해 위험을 피한다. 그렇다면 강아지와 고양이는 소리를 어떻게 이해할까. 보호자들은 강아지가 자신의 이름을 부르면 귀를 쫑긋 세우거나 고양이가 사료통 흔드는 소리를 들으면 즉시 달려오는 모습을 보며 “역시 똑똑하다”라고 느낀다. 하지만 이런 반응은 단순한 자극 반사인지 학습된 인지 능력인지 구분하기 어렵다.행동인지학 연구에 따르면 강아지와 고양이는 청각 범위가 사람보다 넓고 민감할 뿐 아니라 특정 소리에 의미를 부여해 학습하는 능력도 탁월하다. 강아지는 평균 165에서 250개 단어와 신호를 이해할 수 있으며 일부 보더콜리는 1,000개 이상의 단어를 학습하기도 했다. 고양이는 사람의 언어를 직접 이해하지는 못하지만 음높..
반려동물-음향 공포증 진단 체크리스트 개발 연구 반려동물이 소리에 보이는 과도 반응, 단순 예민함일까강아지와 고양이는 사람보다 청각 감도가 수 배 이상 발달해 있다. 강아지는 약 40Hz에서 45,000Hz, 고양이는 약 48Hz에서 64,000Hz의 소리를 인지한다. 이러한 예민한 청각은 야생에서 생존을 위해 진화된 무기였지만, 도시에서 생활하는 반려동물에게는 ‘소음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약점이 되기도 한다. 보호자는 아이가 초인종, 드릴, 오토바이 배기음, 천둥, 폭죽 소리에 갑자기 귀를 젖히거나 숨거나 짖거나 하울링을 하는 모습을 보고 “원래 예민해서 그렇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반복되는 과도 반응은 단순 예민함이 아니라 음향 공포증의 징후일 가능성이 높다.수의행동의학 연구에 따르면 전체 반려견의 40%, 반려묘의 30%가 소음 공포증이나 소음성..